업체 실적으로 입찰이 가능한데 얼마까지 입찰이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조달청 시설공사 적격심사 입찰가능금액 계산(실적에 의한 경쟁입찰 이외의 경쟁입찰공사)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조달청 시설공사 적격심사 입찰가능금액 계산
입찰 공고를 확인할 때, 시공 경험(실적) 요건을 충족하는지 검토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일반적으로 실적 기준을 만족하면 입찰에 참여할 수 있지만, 업체의 실적으로 실제 얼마까지 입찰이 가능한지 정확한 계산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달청 시설공사 적격심사에서 실적을 기준으로 입찰 가능 금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업체가 어느 범위까지 입찰할 수 있는지 명확하게 파악해보겠습니다.
조달청 시설공사 적격심사 실적배수 확인
조달청 시설공사 적격심사에서 수행능력 평가의 시공경험(실적) 항목은 실적배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적격심사에서는 예비가격 기초금액을 기준으로 실적배수가 적용되며, 이를 통해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입찰 금액이 결정됩니다. 실적배수의 핵심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조달청 시설공사 적격심사 기초금액 실적배수
추정가격 기준
|
기초금액 대비 실적배수
|
비고
|
100억원 미만 ~ 50억원 이상
|
2배수
|
[등급공사]
토목 1배수
건축 2배수
|
50억원 미만~ 10억원 이상
|
1배수
|
|
10억원 미만 ~ 3억원 이상
|
0.5배수
|
종합.전문공사 [별표 3]
전기.정보통신.소방시설.국가유산공사 등 [별표 2]
|
3억원 미만 ~ 2억원 이상
(전기.정보통신.소방시설.국가유산공사 등은 3억원 미만 ~ 8천만원 이상)
|
0.5배수
|
|
2억원 미만
(전기.정보통신.소방시설.국가유산공사 등은 8천만원 미만)
|
평가없음
|
|
조달청 시설공사 적격심사 입찰가능금액 계산
입찰 가능 금액은 시공경험의 실적계수 산식을 바탕으로 풀이됩니다.
공사실적합계액 / (예비가격기초금액 * 기초금액 배수) = 실적계수
(예비가격기초금액 * 기초금액 배수) 만큼 공사실적을 보유하게 되면 실적계수가 1이상으로 시공경험 점수를 충족하게 됩니다.
해당 산식을 역산해서 업체 실적으로 참여가능한 예비가격기초금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사실적합계액 / 기초금액배수 = 예비가격기초금액
[예시 1] 업체 5년 실적 2,500,000,000원 | 업종 전기
|
추정가격 기준
|
기초금액 대비
실적배수
|
업체실적 적용 계산
|
입찰가능여부
|
100억 미만 ~ 50억 이상
|
2배수
|
2,500,000,000 ÷ 2 = 1,250,000,000원
|
참여불가
|
50억 미만 ~ 10억 이상
|
1배수
|
2,500,000,000 ÷ 1 = 2,500,000,000원
|
참여가능
|
10억 미만 ~ 3억 이상
|
0.5배수
|
2,500,000,000 ÷ 0.5 = 5,000,000,000원
|
참여가능
|
3억 미만 ~ 8천만원 이상
|
0.5배수
|
2,500,000,000 ÷ 0.5 = 5,000,000,000원
|
참여가능
|
8천만원 미만
|
평가없음
|
-
|
참여가능
|
업종이 전기인 업체의 실적이 2,500,000,000원인 경우 추정가격 50억원 미만 ~ 10억원 이상 기준에서 기초금액2,500,000,000원까지 참여가 가능합니다.
[예시 2] 업체 5년 실적 980,000,000원 | 업종 건축
|
추정가격 기준
|
기초금액 대비
실적배수
|
업체실적 적용 계산
|
입찰가능 여부
|
100억미만 ~ 50억 이상
|
2배수
|
980,000,000원 ÷ 2 = 490,000,000원
|
참여불가
|
50억 미만 ~ 10억 이상
|
1배수
|
980,000,000원 ÷ 1 = 980,000,000원
|
참여불가
|
10억 미만 ~ 3억 이상
|
0.5배수
|
980,000,000원 ÷ 0.5 = 1,960,000,000원
|
참여가능
|
3억 미만 ~ 2억 이상
|
0.5배수
|
980,000,000원 ÷ 0.5 = 1,960,000,000원
|
참여가능
|
2억 미만
|
평가없음
|
-
|
|
업종이 건축이고 실적이 980,000,000원을 보유한 경우 추정가격 10억 미만까지 참여가 가능합니다.
추정가격 10억 미만 ~ 3억 이상에서 0.5배수를 적용하여 계산하면 1,960,000,000원이 나오기 때문에 10억 이상까지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나, 50억 미만 ~ 10억 이상에서는 1배수를 적용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1배수를 적용하면 980,000,000원으로 10억원 이상을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해당 업체의 실적으로는 10억원 미만까지만 참여가 가능하게 됩니다.
'알면 쓸모있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첫 ‘미리내집’ 입주자 모집 시작, 신혼부부를 위한 서울시 장기전세주택 (0) | 2025.04.16 |
---|---|
조달청 원가계산 간접공사비(제비율) 개정 최신 기준(25년 4월 1일 기준) (0) | 2025.04.03 |
대학가요제의 부활, 2025년 한강 대학가요제 개최 및 신청 정보 (0) | 2025.03.25 |
2025년도 적용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기계설비 일위대가표 확인하기 (0) | 2025.03.25 |
2025년 통신공사 표준일위대가 상세내용 확인하기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