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공동 발표한 『2025년 하반기 적용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 중 제2장 토목공사 분야는 공공 건설사업의 예정가격 산정을 위한 기준 단가를 제시합니다. 공종별 세부 단가, 노무비율, 적용 조건 및 단가정의 등 실무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항목별로 자세히 정리하였습니다.
📚 제2장 토목공사 표준시장단가 목차
- A. 공통공사
- C. 지반개량공사
- D. 토공사
- E. 현장타설 콘크리트공사
- F.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공사
- G. 관공사
- H. 배수공사
- I. 강구조공사
- K. 교량공사
- L. 도로 및 포장공사
- N. 터널공사
- O. 하천 및 항만공사
- Q. 기타공사(1)
- R. 기타공사(2)
각 항목은 규격, 단위, 단가, 노무비율과 함께 공사내용 및 단가정의가 함께 제시됩니다. 아래는 예시 일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2025년 하반기 적용 토목공사 표준시장단가 자료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하반기적용건설공사표준시장단가.pdf
2.85MB
🏗️ A. 공통공사
■ 마대 쌓기 및 헐기
- 공종코드: AA210.90110 ~ AA210.90130
- 단가정의:
- P.P마대를 제작, 쌓기, 철거하는 작업
- 재료비는 포함되지 않음
- 0.024m³ 기준
- 단가: 만들기(2,270원), 쌓기(906원), 헐기(879원)
- 노무비율: 98%
🌍 D. 토공사 (흙깎기, 흙쌓기 등)
■ 흙깎기 / 보통토사
- 공종코드: DD100.00000 등
- 규모에 따른 단가:
- 소규모: 3,419원
- 중규모: 1,734원
- 대규모: 1,295원
- 노무비율: 55% ~ 51%
- 단가정의: 토공 장비로 흙을 절취하고, 집토 및 소운반까지 포함
■ 흙운반(적재·적하)
- 공종코드: DS***
- 운반토질 및 덤프트럭 크기에 따라 단가 차등 적용
- 예시:
- 토사/굴삭기+덤프15톤: 6,163원
- 발파암/굴삭기+덤프24톤: 9,233원
- 노무비율: 42% ~ 53%
- 단가정의: 적재, 하차, 대기시간, 덮개 설치·해체, 세륜기 통과까지 포함
🧱 E. 현장타설 콘크리트공사
■ 철근 가공 및 조립 (공장가공)
- 공종코드: EE001.22000 ~ EE001.42000
- 규격: Type I ~ III
- 단가: 605,003원 ~ 804,905원/ton
- 노무비율: 83~84%
- 단가정의:
- 공장에서 철근을 가공하고 현장 조립 포함
- 간격재, 인상작업, 겹이음 포함
- 재료비 제외
🧩 G. 관공사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예시:
- ∅1,100mm: 149,607원/m
- ∅2,000mm: 314,742원/m
- 노무비율: 78~81%
- 단가정의:
- 관 부설, 절단, 접합 포함
- 관 매설을 위한 터파기, 되메우기 등은 제외
- 소모재료 포함, 자재비 제외
🌊 O. 하천 및 항만공사
■ 사석부설
- 공종코드: OB100.01000
- 단가: 3,660원/m³
- 노무비율: 62%
- 단가정의:
- 굴착기를 이용한 사석 부설
- 다짐, 사석 운반 제외
■ 돌망태설치 (타원형)
- 공종코드: OH131.04000 등
- 규격: 높이 40cm ~ 70cm
- 단가: 15,120 ~ 28,062원/m²
- 노무비율: 90%
- 단가정의:
- 포설, 조립, 조임 및 마감 포함
- 재료비 제외
- 본 단가는 재료비(일부 제외), 직접노무비, 직접공사경비 포함이 원칙입니다.
- 적용 시에는 현장 조건에 따라 할증 가능하며, 이중 할증은 금지됩니다.
- 실제 설계, 원가계산, 시방서 작성 시 매우 중요한 기준이므로 공종별로 세심하게 확인 필요합니다.
반응형
'알면 쓸모있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하반기 건축공사 표준시장단가 완벽정리 (0) | 2025.05.13 |
---|---|
2025년 하반기 기계설비공사 표준시장단가 자세하게 확인하기 (0) | 2025.05.12 |
2025년 상반기 조달청 시설공통자재 가격정보 발표(토목, 건축, 기계설비, 전기 정보통신) (0) | 2025.05.09 |
금요일 밤 야간 문화 프로그램, 문화로 야금야금 정보 알아보기 (0) | 2025.04.23 |
2025년 건설신기술 품셈 총정리, 분야별 적용 기준과 신기술 공법 리스트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