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쓸모있는 정보

2025년 하반기 건축공사 표준시장단가 완벽정리

by 거북이 소년 2025. 5. 13.
반응형

건축공사는 실내외 마감, 구조체, 방수, 금속, 창호 등 매우 다양한 공종으로 구성되며, 이번 2025년 하반기 기준 표준시장단가는 이러한 항목들에 대한 대표단가와 노무비율, 단가정의를 제시합니다. 아래에서 실무에서 자주 활용되는 공종별 내용을 정확하고 상세히 소개합니다.

건축공사-표준시장단가-완벽정리
건축공사 표준시장단가 완벽정리

 

📋 건축공사 표준시장단가 목차

  • A. 공통공사
  • D. 철근콘크리트공사
  • E. 철골공사
  • F. 조적공사
  • G. 미장공사
  • H. 방수공사
  • I. 목공사
  • J. 금속공사
  • K. 지붕 및 홈통공사
  • L. 창호 및 유리공사
  • M. 타일 및 돌공사

아래의 내용은 일부 내용이오니,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려면 2025 건축공사 표준시장단가 자료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하반기적용 건축공사 표준시장단가.pdf
2.85MB

 

 


🛠️ A. 공통공사

■ 강관비계 (설치·해체)

  • 규격: 10m 이하, 1020m 이하, 2030m 이하
  • 단가: 25,176원 ~ 30,523원/m²
  • 노무비율: 63% ~ 68%
  • 단가정의:
    • 비계, 발판, 내부계단, 안전난간 포함
    • 보호망 재료비는 제외
    • 3개월 초과 시 단가 및 노무비율 보정 필요

🧱 D. 철근콘크리트공사

■ 철근 가공 및 조립 (공장가공)

  • Type I: 593,678원/ton, 노무비율 87%
  • Type II: 700,182원/ton, 노무비율 86%
  • 단가정의:
    • 겹이음, 인상, 간격재 포함
    • 재료비 제외, 특수 가공비 제외

🏗️ E. 철골공사

  • 내용 요약:
    • 주요 항목은 철골조립, 용접 등 포함
    • 기계경비와 특수공법에 따른 보정 적용 가능

 


🧱 F. 조적공사

  • 공종 예시: 시멘트 벽돌쌓기, 블록쌓기 등
  • 노무비율: 약 95% 이상
  • 단가정의:
    • 쌓기, 줄눈, 조인트 마감 포함
    •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음

🎨 G. 미장공사

■ 내부 몰탈미장

  • 단가: 약 6,000원~10,000원/m²
  • 노무비율: 95% 내외
  • 단가정의:
    • 바탕 정리, 몰탈 바름, 줄눈 처리 포함
    • 비계 사용 시 층수별 보정 적용

💧 H. 방수공사

■ 수밀코킹

  • 단가: 3,660원~4,282원/m
  • 노무비율: 100%
  • 단가정의:
    • 실링건, 마스킹, 프라이머, 충전 작업 포함
    • 재료비는 제외

 

 


 I. 목공사

■ 마루귀틀 설치

  • 단가: 15,255원/m
  • 노무비율: 97%
  • 단가정의:
    • 절단, 설치, 모르타르 사춤 포함
    • 재료비는 별도

🛠️ J. 금속공사

■ 걸레받이 설치

  • 재질별 단가:
    • 중밀도섬유판: 3,697원
    • 합성수지: 3,085원
    • 석재류: 35,237원
  • 노무비율: 93%~96%
  • 단가정의:
    • 절단, 설치 포함
    • 주재료비 제외, 접착제 등은 포함

🏠 K. 지붕 및 홈통공사

  • 공종 예시: 금속지붕재 설치, 홈통설치 등
  • 특이사항:
    • 도막 방수 포함 가능
    • 지붕 기울기에 따른 보정 가능

L. 창호 및 유리공사

  • 대표공종:
    • 알루미늄 창호 설치
    • 복층유리 부착 등
  • 노무비율: 약 85~95%
  • 단가정의:
    • 프레임 조립, 고정, 실링 포함

🧱 M. 타일 및 돌공사

■ 석재 시공

  • 공종 예시: 대리석, 화강석 붙임
  • 단가: 약 30,000~50,000원/m²
  • 노무비율: 90% 이상
  • 단가정의:
    • 붙임, 줄눈 마감, 정리 포함
    • 재료비는 제외

 


  • 건축공사는 공정 범위가 넓어 단가 적용 시 단위별 해석이 필수입니다.
  • 각 공종마다 단가정의가 명확히 제시되어 있으므로, 설계서·시방서 작성 시 반드시 기준 확인이 필요합니다.
  • 재료비는 대부분 제외이며, 노무비율이 매우 높아 인건비 반영이 중요합니다.
  • 층고, 공사기간, 작업높이 등에 따라 단가 보정계수 적용 필수입니다.
반응형